베트남 행정 구역 구분 및 대한민국 행정 단위로 치환
베트남의 행정 구역은 3단계로 성(베트남어: Tỉnh/ 省, 제1급 행정구), 현(베트남어: huyện/ 縣, 제2급 행정구), 사(베트남어: xã/ 社, 제3급 행정구) 단위로 구성되어 있으며, 보다 큰 단위로는 전국을 8개 지방으로 나누어 구분하기도 하지만 이는 편의상의 행정 구역이며 정식 지방 행정 단위는 아니다. 59개 성이던 것이 (주관적: 면적, 인구를 호치민시와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2008년 8월 1일 하떠이성을 하노이에 편입됨으로써 59개 성(tỉnh)이 58개로 줄어 5개 특별 자치행정구와 58개의 성으로 기본 행정 단위로 이루어져 있다.
편의 상 8개 지방으로 구분한 각 지역 명칭
- 서북 - 6성 : 라오까이, 라이쩌우, 디엔비엔, 선라, 호아빈, 옌바이
- 동북 - 9성 : 하장, 까오방, 박깐, 랑선, 뚜옌꽝, 타이응우옌, 푸토, 박장, 꽝닌
- 홍강 삼각주 - 10성 : 타이빈, 남딘, 닌빈, 하남, 하노이, 빈푹, 박닌, 흥옌, 하이즈엉, 하이퐁
- 북중부 - 6성 : 타인호아, 응에안, 하띤, 꽝빈, 꽝찌, 트어티엔후에
- 남중부 - 8성 : 다낭, 꽝남, 꽝응아이, 빈딘, 푸옌, 카인호아, 닌투언, 빈투언
- 중부 고원 - 5성 : 꼰뚬, 잘라이, 닥락, 닥농, 럼동
- 동남부 - 6성 : 빈푹, 빈즈엉, 동나이, 떠이닌, 바리어붕따우, 호찌민
- 메콩강 삼각주 - 13성 : 롱안, 띠엔장, 벤째, 빈롱, 짜빈, 동탑, 허우장, 속짱, 안장, 끼엔장, 박리에우, 까마우, 껀터
이미지 위키백과
대한민국의 행정 단위로 치환(베트남 행정 구역이나 지명에는 모두 한문 명칭이 있음)
베트남의 행정 단위는 아래로 총 3단계가 존재한다. 대한민국의 단위로 치환하면 아래와 같이 바꿔볼 수 있다.
성(띤, 省: 성도 thành phố) = 도(道)
중앙직할시 = 광역시 (Thành phố trực thuộc Trung ương 城舗直屬中央, 또는 thành phố ,城舗) - 5개(하노이,호치민,하이퐁, 다낭, 껀터)
시사(市社: Thị Xã), 성시(省市) = 한국의 시 단위
군(郡: Quận) = 구(區) 한국의 구 단위
현(縣: Huyện) = 군(郡) 한국의 군 단위
방(坊: Phường) = 동(洞) 한국의 동 단위
시진(市鎭: Thị trấn) = 읍(邑) 한국의 읍 단위
사(社: Xã) = 면(面) 한국의 면 단위
이미지 위키백과
'베트남 뉴스정보 > 베트남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베트남,한국 포함하는 동아시아 포괄적 경제 동반자 협정(RCEP) 2020 년 체결 목표, 인도 이탈 표명 (0) | 2019.11.07 |
---|---|
베트남 물류업, 소매유통업에 외국 대기업들 적극적 투자 = 경제 주권에 불안의 목소리 (0) | 2019.07.16 |
호치민 렌트 사무실 임대 수요 동남 아시아 지역 최대 (0) | 2018.09.05 |
베트남 시중 은행 금리, 베트남 잇따른 예금 금리 인상 - 예금 확보을 위해 (0) | 2018.08.19 |
[스크랩] 베트남 비거주자인 외국인도 국내 은행에 정기 예금 가능하게, 새 통지 초안 (0) | 2017.07.18 |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