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男-베트남女 '묻지마' 국제결혼 현장 |
|
"국적도 모르고 결혼해"
국제결혼중개시스템 베트남 현지조사 보고서 발간 "맞선 자리에서 나를 선택하고 있는 남성이 한국인인지, 대만인인지 몰랐었다" `속성 맞선'을 통해 한국 남성과 결혼한 한 베트남 여성의 고백이다. 또 다른 베트남 여성은 자신을 찍은 한국 남성을 `싫다'고 했다가 다시는 맞선 기회를 갖지 못했다. 국제결혼 기회를 박탈당한 셈이다. 이 같은 내용은 한나라당 안명옥 의원이 입수, 12일 공개한 `국제결혼 중개 시스템 : 베트남 현지 실태조사'에 들어있는 것들이다. 실태조사는 대통령 자문 빈부격차.차별시정위원회의 연구용역을 받아 지난해 12월 현지에서 이뤄졌다. 2004년 기준으로 총 결혼 건수 31만944건중 국제결혼은 3만5천447건으로 11.4%를 차지한다. 특히 농촌의 경우 국제결혼이 27%나 된다. 베트남 여성은 이 같은 `한국 남(男)-외국 여(女)' 결혼의 주요 대상이다. ◇ `묻지마 결혼' `속성 결혼' 실태 = 조사 결과에 따르면 베트남에서의 결혼은 초특급으로 진행된다. 맞선, 결혼식, 합방, 신혼여행이 길게는 6박7일간, 짧게는 2박3일간 한국 남성의 베트남 체류 기간에 이뤄진다. 한국 남성은 한번 맞선에서 적게는 20-30명, 많게는 200-300명을 볼 수 있다. 베트남 여성이 5-10명씩 차례로 들어오면 마음에 드는 여성을 1명씩 찍어 뒀다가 이들을 대상으로 2차, 3차 선택을 거쳐 최종 1명이 낙점된다. 한 한국 남성은 "너무 많은 여성들을 잠깐 얼굴만 보고 고르자니 정말 어려웠다. 긴장되고 딱히 마음에 드는 여성도 없고...망설였더니 (결혼 중개업소) 사장이 골라줬다"고 말했다. 최종 선택 단계에 가서야 베트남 여성의 나이와 학력, 고향, 가족관계, 직업, 키, 몸무게 등을 파악하고, 한국 남성의 직업과 경제력, 결혼 전력 여부도 전해지는 등 신상 정보가 교환된다. 하지만 베트남 여성이 한국 남성을 거부하는 것은 사실상 거의 불가능하다. 선택되는 것 자체가 치열한 경쟁을 뚫어야 하는 것인 데다 한번 거부하면 `마담 뚜'들이 다시는 맞선을 보지 못하게 하는 `불이익'을 주기 때문이다. 문제는 허위 정보이다. 한 베트남 여성은 "선 볼 때 남편이 기계를 만드는 회사에 다니며 한달 수입이 200만원이라고 했는데 막상 결혼해 한국에 들어와서 보니 공사장 일용직 노동자였다. 나와 결혼하기 전에 몽골 여성과 결혼했었는데 그 여성이 자해 소동을 벌여 이혼했다고 하더라"고 털어놨다. 베트남 여성은 상대 남성에 대한 선택권을 박탈당한 상태에서 제대로 된 정보 마저 갖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결혼 생활의 성공 여부는 전적으로 운에 의존할 수 밖에 없다. ◇ `만남과 결혼' 공공연한 불법 = 베트남에서는 이윤을 목적으로 한 결혼 중개행위가 불법이다. 이 때문에 결혼 과정이 음성화할 수 밖에 없다. 베트남 여성의 동원에는 대마담과 소마담, 모집책이 가동된다. 보통 소마담은 15-30명, 대마담은 60-100명 정도의 여성을 두고 있다. 이들은 모집책을 통해 주로 베트남 남부의 시골마을을 돌아다니며 여성들을 모집한다. 대상은 대개 초등학교 졸업 학력을 가진 19-25세의 젊은 여성들이다. 공개적인 모집은 물론 불법이다. 모집된 여성들은 호찌민 등에서 마담이 운영하는 공동 숙소에서 생활을 한다. 짝을 빨리 찾지 못하면 공동 숙소에 머무르는 기간이 길게는 몇달이 걸릴 수도 있다. 일부 여성의 경우 장기 숙소 생활로 진 빚을 갚을 길이 없어 장애인과 결혼하기도 한다. 맞선은 한국 남성이 도착한 다음날 오전에 곧바로 이뤄진다. 여성들을 맞선 장소로 이동시키는 것은 군사 작전을 방불케 한다. 봉고차를 이용해 수십명의 여성을 동시에 옮길 때는 단속망을 피하기 위해 새벽 시간대를 이용한다. 한 여성은 "새벽 3-4시에 맞선 준비를 한 뒤 10인승 봉고차에 30-40명이 타고 이동하는 데 남성 1명과 맞선을 보는데 400명이 몰려드는 경우도 있다"면서 "하이힐을 신고 맞선장인 8층까지 뛰어올라간 적도있지만 경찰이 단속 나오면 각자 알아서 열심히 도망가야 한다"고 전했다. 한국 남성이 베트남 여성을 맞아들이려면 공식 비용만 1천만원이 드는데 한국인 중개업체가 650만원을 갖고 나머지는 마담들 주머니로 들어간다. 한국 남성이 신부 부모에게 지참금조로 통상 50만원을 준다. 하지만 이도 중개 수수료 등을 제하면 실제 전달되는 액수는 18만원 정도에 그친다. ◇ 현지 결혼 후 입국, 그리고 한국 생활 = 한국 입국 비자를 발급받는데 보통 2-3개월이 걸린다. 이 기간 베트남 여성들은 공동 숙소에서 한국어 공부와 한국 요리 강습, 예절 교육 등을 받는다. 이 비용은 별도로 내야한다. 하지만 갖은 역경 끝에 한국에 도착하더라도 행복이 보장되는 것이 아니다. 한 여성은 "한국에 오자마자 남편이 여권을 뺏고 목을 졸라 너무 무서웠다. 신랑이 정말 너무 무섭다"고 말했다. 다른 여성은 "입국한 지 3일만에 맞았다. 술 마시고 성관계를 요구해와 싫다고 하니 얼굴을 때리고 머리를 잡아당기고 얼굴에다 침까지 뱉었다"며 신세를 한탄했다. /서울=연합뉴스 |
'베트남 뉴스정보 > 베트남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베트남, 30~40대 사업 위한 이주지로 좋아 (0) | 2006.11.12 |
---|---|
베트남 2위 보험사, 내달 하노이 증시 상장전망 (0) | 2006.11.12 |
아베 총리 베트남 방문시 대규모 경제사절단 대동 (0) | 2006.11.11 |
베트남 APEC 중요 의제, '무역 및 투자 확대' (0) | 2006.11.11 |
베토주·주간 스케줄(06 년11 월13 일11 월18 일) (0) | 2006.11.11 |
댓글